그래비티(Gravity) - 알폰소 쿠아론
이 포스터는 다음 영화에서 가지고 온 것입니다.
아이맥스로 본 첫번째 영화다. 영화비도 비싸긴 하던데 영화 자체와 아이맥스라는 특성이 합쳐져서 잘 어울려진 것 같아서 괜찮았다고 말하고 싶다. 그런데도 아이맥스는 비싸긴 비싸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영화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는 포스터가 바로 위의 포스터가 아닌가 싶다. 허블 망원경(인공위성)을 수리하러 올라간 우주 왕복선에서 일어난 일들을 담고 있다.
배우로만 보면 원톱으로 산드라 블록이 나오고 초반에 조지 클루니가 나온다. 우주라는 공간이 역설적으로 영화적으로 보면 소재가 제한된 공간이자 열린 공간이다. 이 말은 무엇이냐면 미지의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 공간은 열린 공간이지만 그 배경들이 같은 화면들을 담을 수 없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즉, 배우들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과 함께 이야기가 탄탄하지 않으면 아주 우스운 영화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배우가 이 부분에서는 나름의 역할을 하긴 했지만 약간의 아쉬움같은 것이 남는다. 그것은 왠지 우주라는 공간적 특성이 배우를 일정 부분 삼켜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배경(우주)이 온통 검은 색이라서 난 더 그렇게 느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영화를 보는 나의 입장에서는 배경에 좀 더 몰입된 느낌이 들었다. 거대한 공간에 몰입이 좀 더 된 느낌이었다. - 이게 아이맥스 탓일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3D를 좋아하지 않는다. 안경을 쓰고 보는 데다 테크놀러지에 영화의 이야기가 먹혀버린 느낌이 들어서 일 것이다.
이야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특정한 적대적인 존재도 없고 공간자체가 위협이 된다. 그런데, 이 공간이 위협이 되는 상황에 대해서 아주 오래전에 읽은 기사가 기억이 난다. 우주에서 쓰레기들이 넘쳐나서 이를 피해서 우주 공간에 위성이나 우주선을 발사하는 것도 큰일이라는 것이다. 이미 지구 궤도는 포화상태로 치달아 있다는 것이다. 이 포화상태와 우주쓰레기를 회피하기 위함과 천체 관측의 원활함을 위해서 허블망원경을 만든 것이라고 말이다. 이미 허블은 90년도에 궤도에 올려진 이후로 수차레 업그레이드/수리등을 거쳐서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이 이야기는 우주왕복선이 허블을 수리하러 올라가서 문제가 생겨서 일어난 일을 다루고 있다. 우주라는 공간과 적대적인 존재가 없이 단지 이야기의 힘으로 전체를 끌어가고 있는 데, 미지의 공간에 대한 공포와 죽음에 대한 공포 등등이 뒤섞여서 인간의 삶에 대한 욕구가 잘 드러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영화에서 사실 보다 충격적인 장면들을 넣을 수도 있었지만 그렇게 하지도 않았다. 다른 리뷰에서도 나왔듯이 러시아 위성이 미사일에 맞는 장면과 같은 것을 넣어서 보다 볼거리를 넣어서 자극적으로 나올 수도 있었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 담담하게 이야기를 끌어가는 것이 이 영화가 가진 장점이 아닐까 한다. 물론 영화다 보니 과학적인 오류가 당연히 있을 것이지만 상상력만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 영화가 가진 힘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 영화를 개인적으로는 다른 분들에게 보시라고 권하고 싶다. 이 영화는 미지의 것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일부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보러가신다면 그 전에 유투브에서 우주정거장 영상(ISS;International Space Staion)을 한번 보시고 가시면 더 좋을 거 같다.
PS. 아참..어쩌면 허블 망원경은 사진작가 로버트 카파의 말처럼 우주에 최대한 근접하여 찍어서 그것을 잘 표현하려는 욕망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