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150 미나리(2021) 미나리를 어제 보았다. 극장에 얼마 전에 가서 소울을 보고 극장 가서 보는 몇 편안되는 영화가 아닌가 싶다. 최근에는 넷플릭스나 왓챠를 통해서 다큐나 영화들을 보는 거 같다. 집에 그나마 55인치 TV라도 있으니 다행인가 싶다. 그게 아니면 내가 더 심심한 하루를 보내게 될 거 같다. 이 영화가 80년대에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해서 보게 되었다. 우리가 말하는 아메리칸드림을 이루러 떠나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어떻게 보면 감독 자신의 이야기를 좀 더 담고 있다는 인터뷰도 사전에 보았다. 이야기는 사실 건조하다. 이민을 가서 병아리 감별사로 일을 하고 한국에서는 이루지 못한 대농장의 꿈을 이루고 싶다는 생각으로 이민을 간 것이다. 더 나아질 거라는 생각.. 2021. 3. 7. 소울 극장을 간지가 1년은 족히 넘은 듯하다. 언제 가본 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다. 기록하지 않은 행동은 기억조차 되지 않는 것이 지금의 나인듯하다. 메멘토가 갑자기 생각나는 것은 왜인지 모르겠다. 매일 내가 한 행동을 몸에라도 새겨야 할 까? 그렇게라도 기억을 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소울을 정말 오랜만에 극장가서 아주 몇 명 되지도 않는 자리에서 멀리 떨어져서 마스크를 쓰고 봤는데 극장에 간 자체도 좋았는데 인사이드 아웃을 보았을 때도 느꼈지만 픽사는 정말 스토리를 잘 짠다는 느낌을 받았고 많이 연구를 해서 애니메이션을 만든다는 느낌을 받았다. 국경 없는 신비주의자라는 것도 웃겼고 스스로 죽음을 알지만 그것으로도 이젠 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고 누군가는 다시 태어나서 삶을 다시 살아가야 한다.. 2021. 2. 3. 세번째 살인 (2017) - 고레에다 히로카즈 내가 본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네 번째 영화가 된다. 내 기억으로 첫번째로 본 영화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였다. 그 영화에서는 뒤바뀐 자식을 보고 키운정으로 스스로 아버지가 되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었다. 그 영화에서 감정의 기복이 커다랗게 요동치는 것이 아니라 담담하게 그 사실들을 직시하게 만들어서 기존 다른 영화에서 볼 때와는 다른 시각을 가진 감독이라고 생각을 했고 바닷마을 다이어리에서도 신파로 갈 뻔한 이야기들을 역시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는 생각이어서 이 영화역시 그런 느낌을 줄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영화를 봤다. 줄거리는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한명이 잡힌다. 그리고 살인 사건을 자백한다. 그런데 재판을 진행하던 중에 자기는 그냥 밖에서 살기보다는 교도소에서 편하게 살기 위하여 검사/변호사의 강요.. 2018. 1. 11. 슈퍼소닉 (2016) - 오아시스의 이야기 오아시스는 1994년부터 2009년까지 활동했던 밴드였다. 이 밴드의 노래도 유명하지만 보컬과 기타/작곡을 맡고 있던 갤러거 형제로도 너무 유명하다. 실제로도 이 두 멤버가 오아시스 그 자체였다고 봐도 될 것이다. 이 다큐는 상영하는 극장이 소수이지만 록음악을 좋아하거나 오아시스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보길 원한다. 근래에 들어서 이 밴드만큼 임팩트가 있고 악동짓많이하던 밴드가 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난 이 밴드의 공연을 한번도 본적이 없다. 2009년 인도 출장중에 이 밴드가 해체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나서 아주 오랜후에 국내 록 페스티벌에서 리암의 비디아이의 공연을 본적은 있다. 어찌 되었던 간에 이 밴드는 록 음악사에서 한자리를 차지하는 밴드임에는 틀림없다. 이 밴드를 잘 모르는 사.. 2016. 12. 3. 더 랍스터 - 이것도 저것도 아닌.,.. 휴일날 집에서 조용히 IPTV로 영화를 보았다.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보기에도 좀 그렇고 해서 이렇게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약간 지난 영화를 이렇게 보게 되니 비용이나 시간면에서 좋은 면이 있다. 일단 이 영화는 약간은 괴기스럽다. 이야기의 주제 자체가 괴기스럽다는 말이다. 혼자서는 절대로 살 수가 없다. 솔로된 사람은 호텔(?)로 가서 솔로인 사람들과 45일 정도 지내면서 그 속에 같이 살 이성을 만나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동물이 된다. 이 상황에서 개가 된 형을 데리고 호텔로 들어오는 그는 그냥 혼자 살기를 원해서 숲속으로 도망친다. 그런데 , 커플이 되는 사람들은 보면 상대방에 나를 맞추는 듯한 생각이 들었다. 동물이 되기 보다는 차라리 인간이 되어서 살아가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덕분이다 그 덕.. 2016. 1. 3. 아메리칸 스나이퍼 (2015)-클린트 이스트우드 저격수는 같은 편을 보호하고 적을 공격하는 임무를 맡는다. 기본적으로는 숨어서 공격하는 형태를 띄게 된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죽음을 확인하게 된다. 저격수는 죽음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는 거 같다. 대상을 선정하고 그 대상에 죽음을 안겨야 한다. 일반적인 군인들은 일일이 죽음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지 않는다. 무차별적으로 죽음을 안겨주는 작업은 그 대상에 대한 상태를 일일이 확인하는 작업을 거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저격수에게는 죽음의 대상이 반드시 적이라는 것이 상정되어야 한다. 그것은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스스로를 위로할 수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고민을 느낄수 있는 영화이긴 한데. 난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영화가 좀 아쉬운 점은 균형을 이루려고 한다는 점이다. 이야기의 균형 즉, 개인과.. 2015. 6. 7.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어제 밤에 이 영화를 보러 갔다. 아주 오래전에 이 영화가 개봉했슴에도 불구하고 영화관은 주말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고 많은 분들이 영화를 보러 왔다. 나이가 좀 있으신 분들이 상당수 왔고 20대 30대 등등 다른 영화를 보러 갔을 때보다 훨씬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들이 들어와서 이 영화를 본다는 느낌을 받았다. 동네에 있는 영화관 하나를 이렇게 다양성 혹은 인디 계열의 영화를 계속 상영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것은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 영화는 다큐인데 두 노부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들이 아주 오랜동안 서로 마주보고 살아왔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긴 기간동안 삶을 함께 해온 이야기 말이다. 이 다큐는 그 특성상 자극적인 장면이나 이야기가 없다. 이 두 분은 그냥 서로 존중하고 아끼고 살아온 .. 2015. 1. 18. Mommy - 자비에 돌란 세상에 상처받은 엄마와 아들의 이야기이다. 다소 폭력적인 아이와 그를 돌보아야 하는 엄마의 이야기. 이 이야기는 살아남으려고 서로를 밀어낸 이야기일수도 있다. 그 밀어냄이 때로는 누군가에게는 버림으로 보일 수도 있을 것이고 다른 사람에게는 어쩔수없슴과 세상에 대한 버티기로만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게 우리의 삶이라면 어이할 것인가? 먼 미래에도 세상은 그렇게 달라져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든다. 약하고 사회악으로 치부된 인간들은 세상에서 점점 더 격리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런 생각은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도 나왔던 내용이기도 하다. 이른바 사회적 예방이라는 측면말이다. 또한 사랑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도 살고 나도 살아야 하기 때문에 보내야만 하는 그런.. 2014. 12. 27. the Hunt (2013) - 토마스 빈터베르그 더 헌트 (2013)The Hunt 8.9감독토마스 빈터베르그출연매즈 미켈슨, 토마스 보 라센, 수세 볼드, 아니카 베데르코프, 라세 포겔스트룀정보드라마 | 덴마크 | 115 분 | 2013-01-24 영화를 본 지가 오래전 인 듯 한 느낌이고 그냥 어제 밤에 드러누워서 IPTV로 결제하고 본 영화다. 사실은 영화관에서 가서 볼려고 마음 먹었던 영화인데 이제서야 보게 된 셈이다. 배우인 매즈 미켈슨은 영어로 최근에 대형영화들(007/삼총사/미드 한니발 등등)에서도 볼 수 있다. 영어로 연기할 때는 이 배우의 발성은 저음에 왠지 차가운 느낌을 전해주고 있는 데 반하여 덴마크언어로 연기할 때는 그러한 느낌은 잘 없다. 이야기는 아주 간단하다. 한명의 별거중인 유치원 남성 교사가 친구의 어린 딸이자 유치원생인.. 2014. 10. 9. 이전 1 2 3 4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