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1 인도여행 1일차 - 타지 마할 스크롤압박 있습니다. 첸나이에서 우여곡절끝에 델리로 도착해서 잔 이후에 숙소에서 예약해준 렌트카를 타고서 타지마할이 있는 아고라로 이동을 하기로 했다. 숙소에 계신 분에게 물어보니 대략4시간정도 걸린다는 이야길 들었고, 가면 100루피정도를 주고 가이드를 쓰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는 이야길 들었다. 아침 7시반에 숙소 밖으로 나가니 렌트카가 있었다. 차종은 도요타의 INNOVA SUV다. 생각보다 안은 훨씬 넓고 편안해서 장거리 이동에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그런 차이다.인도는 영국영향으로 우측통행이다. 즉, 운전석이 우측에 있다. 따라서, 한국사람은 운전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서 보통은 드라이버를 고용한다. 렌트가 업체에서는 드라이버를 포함해서 대여를 해준다.물론 팁은 알아서 대략 주라고 하는 데 40.. 2009. 10. 18. 바다와 나 2009. 8. 24. 평등 - 인도의 한 사람과 나 어제는 비가 하루종일 인도 첸나이에 왔습니다. 점심을 먹기 위해서 한국식당에 차를 타고 가는 중에도 비가 역시나 많이도 왔습니다. 그런데, 식당으로 가기 위해서 유턴을 하기 위해서 잠시 기다리는 동안에 한 사람이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 사람의 차림은 대략 이러했습니다. 머리- 한 몇년은 기르고 감지 않았을 법한 그런 길이와 덩어리들 셔츠- 검은색인데..더러워져서 검은색으로.구멍도 난... 다 떨어진 검은 바지 - 아주 구멍이 숭숭난 그런 바지말입니다. 사실 더러워져서 검어진 것인지도 신발 - 물론 없습니다. 맨발입니다. 우산-당연히 없습니다. 사실 비가 폭우 형태로 그때 오고 있었습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난 한국이라는 곳에 태어나서 출장을 와서 승용차를 타고 한끼에 300 루피나 하는 .. 2009. 8. 19. 채영주 - 바이올린 맨 바이올린맨 - 채영주 지음/문학과지성사 채영주의 소설을 읽은 것은 군대에 있을 무렵, 한창 지하벙커에서 몰래 책읽기에 탐독하던 때이다. 이때에는 휴가자들이 사온 책을 먼저 검열한 후에 올려보내곤 했다. 그때의 채영주의 소설 [크레파스]를 읽고 난 첫 느낌은 '이거 영화만들면 참 좋겠다'였다. 그리고, 바이얼린 맨을 읽고 난 후의 느낌도 그때와 비슷하다. (바이얼린을 만들어서 파는) 사람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은 만들기 위한 과정과 그 바이올린을 사서 쓰는 사람이 잘 쓰는 것일 것이다. 결국은 바이얼린 만드는 사람과 나, 그리고 방에 세들어 사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이 소설은 묘사하고 있다. 좁지만 다양한 인간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채영주는 상황의 묘사능력이 뛰어나 보인다. 마치 읽은 사람에게 영상을 보.. 2009. 8. 4. 바다 누군가는 바다에 생각을 묻고 여름의 끝에서 생각을 하게 된다. 어느 날 가만 생각해보니 내가 바다를 가끔 보러 가는 이유는 수평선때문일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끝을 보면 그 끝이 바다인지 하늘인지 알 수가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 그런 느낌말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모호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인생은 모호함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닐까? 한국어가 가지는 언어의 모호함은 때로는 좋지만 좋지 않을 때도 있다. 그것은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게 힘들게 만든 모호함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모호함은 스스로를 조금씩 가라앉게 만드는 아주 특이한 것이다. 2009. 8. 1. 나쓰메 소세키 - 마음 마음 - 나쓰메 소세키 지음, 김성기 옮김/이레이 책은 선생님이라는 사람이 스스로 죽음을 택하게 되는 상황을 그리고 있다. 이것은 그가 자신의 친구를 저버리고 그를 간접적으로 죽음에 이르게 했다는 자책감에 스스로 괴로워하다가 결국은 죽음을 선택한다는 것이다.이러한 마음은 가장 인간적인 것이다. 스스로를 괴로워하고 외로워하면서 나아가서 인간 자신에 대한 고민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우린 과연 스스로를 얼마나 부끄러워하고 고민하면서 살고 있는가?PS. 나쓰메의 다른 소설들을 더 읽어볼 요량으로 있다. 2009. 6. 21. 의미를 향한 소리없는 절규 - 빅터 E 프랭클 의미를 향한 소리없는 절규 - 빅터 E. 프랭클 지음, 오승훈 옮김, 이시형 감수/청아출판사왜사냐고 물으면 웃을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런지 모르겠지만 난 그렇게 웃을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 사실 그렇게 웃음이 나오지도 않는다.살아간다는 것은 고통을 느끼며 그것으로 존재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생각해왔다.사실 이 책을 읽고 나서도 그런 생각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그것보단 내가 하나의 다른 길을 볼 수도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인 프랭클은 아우슈비츠에서 살아남은 유태인이다. 결국은 언제 가스실로 갈지 모르는 상태에서 살아남았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한 저자가 정신과 의사가 되어서 여러사람에게 이야길 하는 것이다. 책에서는 로고스 테라피 즉 의미를 가지고 살아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하여 정신적.. 2009. 5. 17. 고민하는 힘 - 강상중 고민하는 힘 - 강상중 지음, 이경덕 옮김/사계절출판사이 책은 어떻게 보면 그저 그런 책이다 그럼에도 내가 이책을 선택한 이유중의 하는 저자때문이다.재일교포면서 귀화하지 않고 도쿄대 교수된 저자때문이다.사실 난 제목도 그렇지만 목차들이 마음에 들었다1. 나는 누구인가?2. 돈이 세계의 전부인가?3. 제대로 안다는 것이 무엇일까?4. 청춘은 아름다운가?5. 믿는 사람은 구원받을 수 있을까?6.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가?7. 변하지 않는 사랑이 있을까?8. 왜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9. 늙어서 '최강'이 되라이 책은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실 저러한 주제들에 답이라는 것도 없다. 있을 수도 없고 말이다. 저자는 이야기한다. 이런 주제들에 대해서 고민하라고, 생각하라고 말이다. 그것만으로도 자신.. 2009. 5. 15. 열차 2009. 1. 30.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 반응형